메뉴로 이동 본문 바로가기
Search

자료실

소 사육 농가 기본 방역수칙 및 럼피스킨 매개곤충 방제요령
  • 작성일2025.07.09
  • 조회3,926
alt='럼피스킨으로부터 우리 소 보호하고 청정한 축산농장 만들기
✅ 소 농장 기본 방역 지키기
올바른 백신접종과 출입차량 등에 대한 철저한 내·외부 소독 및 차단방역으로 우리의 소중한 가축을 지킬 수 있습니다.

 * 농장 출입 시
   농장 입구 외부와 출입금지 표지판 설치 및 출입통제
   농장 출입차량 소독
   농장 출입자 소독(특히, 손·신발) 및 환복(방역복 착용)

 * 기본 방역조치
   축사 내·외부 소독
   바닥에 떨어진 사료 제거
   축사 출입 시 신발 소독(축사전용 신발 신기)

※ 이외에도 정기적 올바른 백신접종, 흡혈파리,모기 등 럼피스킨 매개곤충 방제, 발판소독조 소독제 주기적 교체 등을 지켜주세요.


✅ 럼피스킨 임상증상 및 신고 방법
 * 회음부와 생식기에 다수의 피부결절(출처: FAO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 콧잔등(좌)와 입술(우)에 궤양성 병변(출처: FAO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 유두에 궤양성 병변(출처: FAO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 콧잔등 다수의 피부 결절(23.11.6, 충남 부여)
 * 안면부 다수의 피부 결절(23.11.6, 충남 당진)
 * 복부 및 몸통 다수의 결절(23.10.31, 전남 신안)
 * 다리 다수의 결절 및 궤양(23.10.20, 충남 당진)
 * 회음부 다수의 결절 및 궤양(23.10.13, 충남 예산)

※ 의심 가축 발생 시 신속하게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588-9060 (농림축산검역본부)
 1588-4060 (지방자치단체)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축산검역본부 |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민을 웃게하는 적극행정'
alt='럼피스킨 매개곤충 방제와 백신접종으로 우리 소 지키기
✅ 럼피스킨 예방 위한 방역 절차 및 매개곤충 방제요령
 
 * 농가 및 주변
   축사 내·외부 수시로 청소
   분뇨는 정기적·수시로 제거
   주변 매개곤충 서식지(물웅덩이 등) 제거, 방제
   끈끈이 트랩 및 유살램프 활용

 * 축산차량
   차량 내·외부 세척·소독으로 매개곤충 부착 방지  
   소 운반 시 빗질·세척 등 물리적 장치로 매개곤충 제거

 * 도축장, 사료공장, 분뇨처리 시설 등
   시설 내·외부 수시로 방제
   전문 방역업체에 구서·구충 및 파리·모기 등 방제 위탁

※ 약제 분무는 가축과 접촉하지 않는 장소에 한함

✅ 올바른 방제약제 사용 요령 및 관리 방법
 · 살충제는 제품별 사용설명서 꼭 숙지하여 사용
 · 살충제는 가축의 입에 닿지 않도록 주의
 · 살충제는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휘발성분이 많고 햇빛에 의해 변질되어 살충효력 떨어질 수 있음)
 · 젖소 농가는 가급적 물리적 방법으로 매개곤충 제거
  · 살충제를 성분별(유기인계, 카바아이트계, 피레스로이드계 등)로 번갈아 가며 사용

※ 살충제 사용요령의 자세한 사항은 농림축산검역본부 홈페이지 참고(www.qia.go.kr > 동물방역 > 축종별가축질병)


✅ 럼피스킨 백신접종 안심하고 이렇게 접종하세요
백신 접종! 이렇게!
 · 잘 보정하여 한손으로 목부위를 들춰 잡고 가죽 밑에 주사액이 들어가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주사
 · 구제역과 럼피스킨 백신을 같은 주사기에 혼합해서는 안되며, 별도의 주사기와 바늘을 사용해야 함
 · 럼피스킨 백신은 구제역 백신을 접종한 목의 반대편에 접종
 · 백신종류에 따라 1ml 또는 2ml 피하접종(제조사별 설명서 반드시 숙지)

백신 접종 후 사양관리
 · 세계 보건기구에 따르면 럼피스킨 예방 백신접종이 핵심이며,  발열, 유량감소, 접종부위 결절 등 부작용의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몇일 후 정상으로 사라짐
 ·  접종 후 고열, 식욕부진 등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필요시 스트레스 완화제 투여 * 수의사 상담 권고
 ·  양질의 사료와 충분한 물 급여, 추위나 고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소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세심한 사양관리

 ※ 의심 가축 발생 시 신속하게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588-9060(농림축산검역본부) /  1588-4060(지방자치단체)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축산검역본부 |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민을 웃게하는 적극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