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축산환경관리원, “환경친화적 축산업으로 전환” 소통을 통한 지역상생에서 해답을 찾다!
- 작성일2022.08.23
- 조회138,052



□ 축산환경관리원(이영희 원장)은 올해 3월부터 33개 시·군을 대상으로 밀도있는 축산환경개선을 위해 TF(테스크포스)를 운영하여 지역협의체 운영, 지역 특성에 맞는 컨설팅·점검 등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 악취 저감, 민원감소, 화학비료 사용량 절감 등 농림축산식품부 사업지원 분야와 연계한 다양한 성과지표를 적용하여 시·군 지역협의체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했다.
○ 특히, 우수사례로 악취 민원 93% 감소, 화학비료 사용량 76% 절감 등 가시적인 성과를 확인했다.
□ 지역별 축산환경개선 우수사례
○ (전남 고흥: 분뇨처리개선) 처리시설 용량부족으로 인해 적정처리가 어려운 적체 분뇨를 지역주민, 자원화시설, 지자체 등 이해관계자가 협력하여 우선 처리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향후 원활한 분뇨처리 및 악취저감을 위해 사업지원을 통한 정화처리시설 운영체계를 수립했다.
○ (경남 김해: 악취저감) 지역주민의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축산농가의 노력 인지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해 지속적인 간담회 추진(상반기 4회), 축산환경관리원 전문가의 농가 맞춤형 악취저감 컨설팅을 통해 적정시설 지원 유도로 ’20년 대비 악취민원이 93% 감소했다.
* 민원감소 변화: (’20) 5,157건 → (’21) 2,004건 → (’22) 356
- (경북 상주: 경축순환 활성화) 가축분뇨 퇴비·액비 사용 활성화와 화학비료 사용량 절감을 위해 축산(1호)·경종농가(23호) 업무협약을 추진, 농업기술센터와 연계한 가축분뇨 퇴비·액비의 비료 이용효과 검증 및 홍보를 통해 화학비료 사용량 약 76%를 절감, 경축순환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축산업 기반을 마련했다.
○ 악취 저감, 민원감소, 화학비료 사용량 절감 등 농림축산식품부 사업지원 분야와 연계한 다양한 성과지표를 적용하여 시·군 지역협의체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했다.
○ 특히, 우수사례로 악취 민원 93% 감소, 화학비료 사용량 76% 절감 등 가시적인 성과를 확인했다.
□ 지역별 축산환경개선 우수사례
○ (전남 고흥: 분뇨처리개선) 처리시설 용량부족으로 인해 적정처리가 어려운 적체 분뇨를 지역주민, 자원화시설, 지자체 등 이해관계자가 협력하여 우선 처리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향후 원활한 분뇨처리 및 악취저감을 위해 사업지원을 통한 정화처리시설 운영체계를 수립했다.
○ (경남 김해: 악취저감) 지역주민의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축산농가의 노력 인지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해 지속적인 간담회 추진(상반기 4회), 축산환경관리원 전문가의 농가 맞춤형 악취저감 컨설팅을 통해 적정시설 지원 유도로 ’20년 대비 악취민원이 93% 감소했다.
* 민원감소 변화: (’20) 5,157건 → (’21) 2,004건 → (’22) 356
- (경북 상주: 경축순환 활성화) 가축분뇨 퇴비·액비 사용 활성화와 화학비료 사용량 절감을 위해 축산(1호)·경종농가(23호) 업무협약을 추진, 농업기술센터와 연계한 가축분뇨 퇴비·액비의 비료 이용효과 검증 및 홍보를 통해 화학비료 사용량 약 76%를 절감, 경축순환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축산업 기반을 마련했다.
(단위: 톤/백만원)
* 자료출처: 상주시 함창농협(화학비료 금액산정은 복합비료 단가 18,000원 적용)
□ 이번 도출된 우수성과를 지역에 공유하고, 하반기까지 지속적인 컨설팅·현장점검 및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실효성 있는 성과를 추가 발굴할 계획이며, 사업 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 협의체 운영으로 지역상생 체계를 확산할 계획이다.
□ 축산환경관리원 이영희 원장은 “지속 발전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실현을 위해 지역상생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며 “축산환경관리원이 정부와 지자체, 국민과의 연결고리가 되겠다”고 말했다.
구 분 | 농가수 | 살포면적 | 2021년 8월 | 2022년 8월 | 감소량 | 감소율 | |||
화학비료 사용량(톤) |
금액 (백만원) |
화학비료 사용량(톤) |
금액 (백만원) |
화학비료 사용량(톤) |
금액 (백만원) |
||||
계 | 23농가 | 40ha | 215 | 193 | 52 | 46 | △163 | △147 | 76% |
퇴비 살포농가 | 7농가 | 24ha | 89 | 80 | 16 | 14 | △73 | △66 | 82% |
액비 살포농가 | 16농가 | 16ha | 126 | 113 | 36 | 32 | △90 | △81 | 71% |
□ 이번 도출된 우수성과를 지역에 공유하고, 하반기까지 지속적인 컨설팅·현장점검 및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실효성 있는 성과를 추가 발굴할 계획이며, 사업 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 협의체 운영으로 지역상생 체계를 확산할 계획이다.
□ 축산환경관리원 이영희 원장은 “지속 발전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실현을 위해 지역상생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며 “축산환경관리원이 정부와 지자체, 국민과의 연결고리가 되겠다”고 말했다.
-
첨부파일 220822 [보도자료] 축산환경관리원, “환경친화적 축산업으로 전환” 소통을 통한 지역상생에서 해답을 찾다!.pdf (용량 : 300KB / 다운로드수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