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이동 본문 바로가기
Search

알림소식(마당)

[기고] 축산분뇨 에너지화 통한 탄소중립(한갑원 실장)
  • 작성일2021.09.30
  • 조회58,640
기사원문: 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PRO/338869/view


기사전문

정부는 지난해 12월 ‘2050 탄소중립 비전’을 발표했다. 전세계적인 온난화 현상의 가속화를 막기 위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위한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마련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흡수량을 0(Zero)로 만드는 것으로, 산업활동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줄이고 산림흡수 등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7억980만t에서 2018년 7억2670만t으로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자 의무인 것이다.

농업계가 주목해야 할 것은 우리나라 토양의 18.6%를 차지하고 있는 농업분야 탄소흡수량 정책이다.

우리보다 앞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있는 독일의 경우 농업분야 배출목표를 1990년 대비 31~34%로 정한 5800만t의 온실가스 배출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농장, 바이오가스 감축율 유의 등을 새로 개발해 확산하고 있으며 바이오차 생산사업을 통해 토양 내 탄소흡수율을 높이고 있다. 독일은 매년 2억t에 달하는 가축분뇨를 바이오가스화해 137개의 메탄저장고와 9500여 개의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재생에너지의 11%인 연 8300GWh의 전력을 바이오가스를 통해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년 조성된 강원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이 있다. 이곳에선 가축분뇨로부터 나오는 바이오가스를 도시가스와 혼합해 지역난방과 발전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또 분뇨를 바이오가스로 생산한 뒤 에너지화 시설로 직접 공급함으로써 바이오가스를 통해 축산분뇨의 처리를 돕고 있다. 이들 지역 에너지타운의 활용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바이오차 사업을 병행해 탄소흡수율을 끌어올리는 다양한 정책의 확대도 필요하다고 본다.

궁극적으로는 바이오가스를 재사용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우선 축산분뇨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그간 왜곡돼 온 국민들에게 축산분뇨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해야 한다. 또 축산분뇨로 인해 발생하는 냄새나 오염물질 저감 대책 등 관련 정책도 국민들에게 널리 홍보해야 한다. 담당 공무원은 축산분뇨를 에너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만들어 추진할 필요가 있다.

축산분뇨를 그대로 방치해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만들기보다는 에너지화해 탄소중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민과 정부가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