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이동
본문 바로가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기관소개
원장인사말
비전&미션
CI소개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 및 직원
열린경영
경영공시
윤리경영
청렴
사회공헌
인권경영
사업실명제
수의계약현황
비공개 세부기준
오시는길
주요사업
자원순환 활성화 사업
가축분뇨처리지원 사업
가축분뇨 처리 다각화
경축순환농업 체계 혁신
환경친화적안심축산업 실현 사업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
환경친화축산농장
탄소중립 프로그램(축산 분야)
축산환경개선 및 인력양성 사업
지역단위 축산환경개선 지원
축산환경 전문인력 양성
축산환경 교육 운영·관리
축산환경 특성화대학원
산업기반사업
축산환경조사
축산악취 측정(ICT 활용)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축산환경시험분석센터 운영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
동물복지축산 인증 소개
동물복지축산 인증 절차
동물복지축산 인증 표시
동물복지축산농장 현황
알림소식(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채용,행사
포토뉴스
자료실
관련 법령 및 지침
발간자료
정책(홍보) 자료
교육영상 및 자료
깨끗한 축산농장 자가진단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기술정보
기술정보현황
고객참여
고객헌장
Q&A
청렴포털 부패 ∙ 공익신고
레드휘슬
Search
Search
Submit
Open menu
Search
Search
Submit
기관소개
원장인사말
비전&미션
CI소개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 및 직원
열린경영
경영공시
윤리경영
청렴
사회공헌
인권경영
사업실명제
수의계약현황
비공개 세부기준
오시는길
주요사업
자원순환 활성화 사업
가축분뇨처리지원 사업
가축분뇨 처리 다각화
경축순환농업 체계 혁신
환경친화적안심축산업 실현 사업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
환경친화축산농장
탄소중립 프로그램(축산 분야)
축산환경개선 및 인력양성 사업
지역단위 축산환경개선 지원
축산환경 전문인력 양성
축산환경 교육 운영·관리
축산환경 특성화대학원
산업기반사업
축산환경조사
축산악취 측정(ICT 활용)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축산환경시험분석센터 운영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
동물복지축산 인증 소개
동물복지축산 인증 절차
동물복지축산 인증 표시
동물복지축산농장 현황
알림소식(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채용,행사
포토뉴스
자료실
관련 법령 및 지침
발간자료
정책(홍보) 자료
교육영상 및 자료
깨끗한 축산농장 자가진단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기술정보
기술정보현황
고객참여
고객헌장
Q&A
청렴포털 부패 ∙ 공익신고
레드휘슬
자료실
자료실
기관소개
주요사업
알림소식(마당)
자료실
고객참여
Weekly뉴스
관련 법령 및 지침
발간자료
정책(홍보) 자료
교육영상 및 자료
깨끗한 축산농장 자가진단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기술정보
2022.9.12일 주간
작성일
2022.09.20
조회
96,331
2022년 제71호 | 2022.9.12.~18.
안동시 유용 미생물 보급 농민들 큰 호응…매년 수요 증가(영남일보)
- 안동시농업기술센터가 원거리 미생물 무상보급에 나서 농업인들에게 큰 호응 얻어...
- 현재 보급된 미생물 고초균·광합성균·유산균·효모 중 광합성균은 축산농가의 퇴비 부숙 및 악취 저감에 활용
2022.9.12.
충남도, 농식품부 ‘농촌공간정비사업’ 선정…480억 확보(뉴스)
- 1차 공모에 부여군 은사면 나령리, 청양군 읍내리 일원, 2차 공모에 서천군 도둔리 홍원마을, 화성리 대마굴마을 등 총 4지구 선정
- 특히, 부여 나령리는 마을영향권 500m 내 폐축사와 무허가 축사가 산재해 소음·악취·하천오염이 심각하여 젊은 노인들의 쾌적한 마을’로 전환 계획
2022.9.13.
예산군, ‘축산악취 전담반’ 편성 운영(아투시티뉴스)
- 고질적인 축산악취 민원 해소를 목표로 '환경과'와 '축산과'가 결합한 5명으로 구성된 전담반 편성
- 축산악취 발생 농가에 대한 농가별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하고, 동시에 농가별 관리 카드 작성하는 등 악취 발생 축산농가의 악취 저감 의지 높일 것
2022.9.13
.
축산악취 성분 63% 줄이는 사료첨가제 나왔다(디지털타임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축산 배설물 악취 줄이고, 축산농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사료 첨가제 생산 기술 개발
- 전남에 3년간 첨가제 적용한 결과, 암모니아, 황화수소 농도가 최대 63%까지 감소
2022.9.13.
경북도, 가축분뇨처리→축분 소재 산업으로 대전환(뉴시스)
- 퇴비·액비화 비율을 2030년까지 70%로 낮추기 위해 총사업비 2,690억원을 들여 축분을 이용한 고체연료·바이오차, 바이오플라스틱, 그린수소 산업 등 육성계획
- 농식품부, 환경부 협업으로 소재산업 고도화를 위한 「가축분뇨법」, 「비료관리법」 개정과 신설 추진하여 축분 원료파우더, 고체연료, 바이오차 등 활용기반 조성
- 이에 국비 15억원 등 총사업비 30억원을 들여 의성과 영덕의 축산농가 2곳을 대상으로 전국 최초의 축분 바이오차(농장형) 생산시설 시범사업도 추진할 것
2022.9.13.
센코, 양돈농가 축산냄새 스마트 ICT 모니터링 구축 사업자 선정(전기신문)
- 안성시, 3년 연속 농식품부 축산악취개선사업공모에 선정돼 총 70억원 규모의 누적 사업비 확보
- 양돈농가 20개소 악취 측정기 및 전광판을 설치해 악취를 관리하며,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구축하고, 전국적으로 확대 보급할 계획
2022.9.14.
㈜누보 ‘누보 바이오차’, 바이오차 활용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 방법론 적용조건 적합성 통과(농기자재신문)
- 농가의 토양 개량 활동에 바이오차 활용 시 토양 산성화 방지, 토양 내 양분 저장 능력 향상하는 등 저탄소 농업에 기여
- 누보 바이오차는 고온탄화로 생산되어 탄소저감 기능이 탁월하며, 야자껍질이 주원료로 용적밀도가 높아 날림이 적고,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 보유
2022.9.16.
v
홍성군, 가축분뇨에너지화시설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최초 발급(충남일보)
- 가축분뇨 110톤을 처리할 수 있는 가축분뇨에너지화시설인 ‘원천에너지전환센터'를 통해 ‘주민
·
축산 생태
·
상생마을’조성, 농촌에너지화 생태시스템 구축
- 신인환 축산과장, "분뇨처리 문제 해소, 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 지속적 확충 절실, 이에 안정적 운영을 통해 재정적‧기술적 지원하여 성공적 모델로 안착할 것"
2022.9.16.
KTL, 군위축산업협동조합과 ‘탄소 저감기술 개발’ 맞손(부산일보)
- 지속 가능한 바이오에너지로서 가축분뇨 고체연료의 상용화를 위한 기술 실증 기반 마련 필요
- ‘습공기 제어형 스마트 바이오드라잉 시스템’, 생물발효를 통해 가축분뇨를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건조효율이 높고, 악취 차단 가능
- 농식품부, 가축분뇨 에너지화 사업을 지원함으로써 탄소중립 실현 및 그린경제 도약에 이바지할 것
2022.9.16.
'축산환경컨설턴트' 민간자격 2급 자격시험 10월 9일 첫 시행(한국농촌경제신문)
- 축산악취 저감, 가축분뇨의 적정관리·이용 등 농가의 축산환경개선을 지도하는 우수 전문인력 자격검증 실시
- 교재에는 탄소중립, 가축분뇨 유래 신재생에너지, 가축분뇨 처리 다각화, 악취저감 최신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깊이 있게 다루어 난이도 있는 지식과 기술 대폭 반영
2022.9.14.
[전문가의 눈] 돼지 똥의 가치 변화(농민신문)
- 가축분뇨를 올바르게 처리하지 않는다면 수질오염 야기, 반면 가축분뇨로 만든 퇴비와 액비를 작물의 비료로 사용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이점 거둘 것
- 돼지 한마리당 하루에 약 4.73㎏씩 총 5만t 배출, 이에 따른 질소발생량 50만4천t으로 추산, 비료로 만드는 과정 중 손실량 감안해서 약 17만t의 질소 잔량 측정
- 이에 가축분뇨의 퇴비·액비 활용은 농가에 약 5,340억원의 경제적 부담 완화 시킬것으로 기대
2022.9.16.
· 철원, 축산행정 추진 전국서 ‘으뜸’(2022.9.5.)
· 가축분뇨 에너지화, 인센티브 제도 구축 필요(2022.9.5.)
· 예산군 농업기술센터, 농번기 이전 ‘퇴비 부숙도 검사’ 당부(2022.9.6.)
· "악취·유해물질 없는 쾌적한 농촌으로"…공간정비사업 확대 추진(2022.9.6.)
· 악취 없는 쾌적한 농촌 만든다…내년 예산 776억 확보(2022.9.6.)
· 파주시, 추석 전 가축분뇨 배출시설 특별점검(2022.9.6.)
· 전북도 12일까지 새만금 유역 7468개소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점검(2022.9.7.)
· 홍성군 깨끗한 축산 환경 조성! 농가 “우리부터 실천”(2022.9.7.)
· 강원도,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악취개선 공모사업' 최종 확정(2022.9.7.)
· 진주시, 골칫거리 축사 정비 가능해졌다(2022.9.7.)
문의처: 축산환경관리원 ESG전략팀
전화
044-550-5015
이메일
wldud4849@lemi.or.kr